패러다임의 전환에서 가장 인간다운 인간을 위한 어린이박물관
테크놀로지의 혁명이라고 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갈 아동들에게 어린이박물관은 미래 세상에 대한 준비를 아동의 발달에 맞게 제공해야한다. 미래 사회는 기계과 인간의 경계가 사라지고 인간은 기계가 구축하지 못한 더 인간적인 모습으로 생존할 것으로 전망되며, 또한 이 시대는 도덕적 가치, 사회적 관계, 휴머니티 등 무형의 가치가 중요한 자본이 되리라 예견된다. 이에 따라 어린이박물관에서는 현재 학교의 지식교과 습득 현황과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미래 시대의 간극을 채워줄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 즉 인간다운 인간 발달을 위한 정서 및 가치 추구 학습, 다변화되는 가족 문화의 휴식과 치유, 나들이 장소로서의 필요한 공간 요건 등 시대적 요구에 필요한 콘텐츠와 시설로 매우 복합적 기관이 되어야 할 것으로 전망한다.
A Children’s Museum for the most Humanlike Human in the Transition of Paradigm
For children who will soon be living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 technological innovation, Children’s museums should be prepare them for the future world by considering children’s growth. In the future, there will be no barrier between machines and humans, and it is speculated that humans will be able to survive as more human-like beings which machines could not build up. Furthermore, intangible assets such as moral values, social relationship, humanities, etc. are thought to be critical assets during this age. Likewise, children’s museums should serve by helping with knowledge status of school education and fulfilling the future generation that is rapidly changing with the speed of sunlight. This means that children’s museums are thought to grow as a very complex organization with contents and facilities that are needed during the generation as the museums serve as places for pursuing the study of emotion and values for human-like human development, and rest and recovery of diversifying family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