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IMF-yeongwol Internation Museum Forum

메인메뉴 보기

지난행사보기

A Critical View on Museum Policy in Korea

연사 : 김영호 국가 : Korea 소속 : -

A Critical View on Museum Policy in Korea

Museum policy of Korea has achieved its policy goal to promote museums qualitatively,with a series of enactment, abolishment and revision, since the mid 80’s. However, whenasked whether these new museums are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ies properly, it is noteasy to answer. The reason why museums of Korea are not free from the criticism on theirsocial functionality is related to the lack of robust legal framework. The representativecase is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enacted in 1991. The act was legislatedto replace 「Museum Act」 established 1984 and has been modified through 23 times ofrevisions for the past 14 years but still not free from criticism. The biggest issue lies in thehierarchy between museum and art museum. The point is museum policy, implementedby the administration of Korea is facing many challenges due to unreasonable legalframework and this in turn affects negatively on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government as well as universities in nurturing professionals in the field. To improvesocial func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Museums, it is essential to build relevant Museumlaw, as it is the very basis for entire system. The paper is to diagnose the issues of 「Museumand Art Gallery Support Act」 in the context of system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ooffer solution to the issues. The key solutions are as follows.

– The conflict between concept and practices caused by the loopholes in the current

「Museum and Art Museum Support Act」 should end by abolishing the act and establishinga new law with the title of 「Museum Act」. In the process, provisions to promote artmuseum, the entity emerging as the center of contemporary art and culture, should bespecifically stated.

– The newly enacted law should apply mandatory registration of public museums tostop reckless mushrooming of public museums since the threshold for registration waslowered. In the        meantime, to strengthen social function and responsibility of museums,they should be perceived as an ‘institution’ not ‘facility.’

– It seems desirable to adopt separate category for museum professionals by their roles,instead of calling them all curator, to strengthen expertise and specialty in each category.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segment types of curators by their function. For specificsof the segmentation, refer to the competency categorization for curator in ‘NationalCompetency Standards’ published in 2015.

– <Museum Policy Department>under ‘Library Policy Bureau’ of the ministry should berestructured into a comprehensive department to oversee art museum policy, too. Sincethe structural change is directly linked to content of relevant legal framework, thoroughreview on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should be the prerequisite.

한국의 뮤지엄 정책에 대한 비판적 소고

한국의 뮤지엄 정책은 뮤지엄 관련법을 제정한 1980년대 중반 이래 폐지와 제·개정을 통해 양적인 면에서 박물관진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이들 신생 뮤지엄들이 제대로 된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고 있느냐는 질문 앞에 자유롭지 못하다. 한국의 뮤지엄이 질적인 면에서 비판을 면치 못하는 원인은 뮤지엄 관련법이 여전히 부실하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1991년에 제정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이다. 1984년 출범한 「박물관법」의 뒤를 이어 등장한 이 박물관및 미술관 진흥법」은 14년 동안 23차례의 개정작업을 거치며 보완되어 왔으나 여전히 비판의 대상이다.가장 큰 이슈는 박물관(Museum)과 미술관(Art Museum)의 지위체계 문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리나라의 행정부가 추진하는 박물관 정책은 법이라는 제도적 장치의 후진성에 의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정부의 조직 뿐만 아니라 대학의 전문인력 양성교육에 이르기 까지 부정적 영향을끼치고 있다. 따라서 뮤지엄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초석이 되는 뮤지엄 관련법이 바로 서야 한다. 이 글은 현행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의 문제를 제도와 조직의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며 그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제안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 개념적 모순과 실행상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현행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을 폐지하고 「박물관법」의 명칭으로 제정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현대 예술문화의 총아로 부상하는 미술관(Art Museum)분야의 진흥을 위한 법 조항을 신중히 명시해야 한다.

– 새로 제정되는 법에는 등록규제 완화로 인한 난립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공립박물관 등록을 의무화 함으로써 해당 기관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한편 박물관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제고하기 위해 박물관의 개념을 ‘시설’이 아닌 ‘기관’으로 명시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현재 학예사로 통칭되는 뮤지엄의 전문인력을 직무에 따라 분화된 형태로 구분해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학예사의 종류를 직무별로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세분화의 내용은2015년에 개발된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분류된 학예사 직무표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 현행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의 <박물관정책과>는 미술관정책을 포함한 통합부서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직개편은 뮤지엄 관련 법제의 내용과 직접적이 연관을 지니므로 현행 「박물관 및 미술관진흥법」에 대한 근본적 검토가 선결되어야 한다.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로 64 tel 033-370-2907 fax 033-370-2859
Copyright ⓒ Yeongwol County. All rights reserved.